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모아보기

2025 대선 투표 Q&A 총정리! 투표는 언제? 어디서? 공휴일? 사전 투표?

by The Kiddos’ Corner (아이들의 코너) 2025. 4. 9.
반응형

2025 대선 투표 Q&A 총정리! 투표 가능 연령부터 입대 예정일까지 한눈에 확인

2025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가 조기 실시됨에 따라 유권자들이 궁금해할 만한 내용을 Q&A 형식으로 정리했습니다. 

1. 2025년 대통령 선거에서 투표할 수 있는 연령은?

Q: 몇 살부터 투표가 가능한가요?

A: 선거일 기준 만 18세 이상이면 투표할 수 있습니다. 즉, 2007년 6월 3일 이전 출생자는 이번 대선에서 투표권이 있습니다.

2. 선거 당일이 생일이면 투표 가능할까?

Q: 제가 2007년 6월 3일에 태어났는데, 올해 대선일이 6월 3일입니다. 투표할 수 있나요?

A: 네! 선거일인 6월 3일에 만 18세가 되는 경우에도 투표할 수 있습니다. 즉, 2007년 6월 3일생도 이번 대선에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3. 대통령 선거일은 공휴일인가요?

Q: 2025년 대통령 선거일(6월 3일)이 공휴일인가요?

A: 네. 대통령 선거일은 법정 공휴일로 지정됩니다. 따라서 직장인이나 학생들은 별도의 출근이나 등교 없이 투표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4. 대통령 선거 투표 시간은?

Q: 투표소는 몇 시부터 몇 시까지 운영되나요?

A: 본투표는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진행됩니다. 다만, 사전투표(5월 29-30)는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됩니다.

5. 어디에서 투표할 수 있나요?

Q: 투표소는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

A:

    • 본투표(6월 3일): 주민등록상 주소지에 해당하는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가능합니다.
    • 사전투표(5월 30일~31일): 전국 어디서나 가능하며, 가까운 사전투표소를 이용하면 됩니다.
    • 투표소 위치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6. 주민등록상 주소지와 다른 곳에서 투표 가능할까?

Q: 현재 거주지는 서울이지만, 주민등록 주소지는 부산입니다. 어디에서 투표할 수 있나요?

A: 거주지와 주민등록 주소지가 다를 경우 사전투표를 이용하면 됩니다.

  • 사전투표(5월 30일~31일): 전국 어디서나 가능
  • 본투표(6월 3일): 주민등록상 주소지에 해당하는 투표소에서만 가능

7. 군 입대일과 대통령 선거일이 같다면 투표할 수 있을까?

Q: 2025년 6월 3일이 입대일인데, 투표를 할 수 있나요?

A: 입대일이 선거일과 겹친다면 사전투표(5월 30일~31일)를 이용하면 됩니다.

  • 입대 당일에는 투표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사전투표를 적극 활용하세요.

8. 투표할 때 필요한 준비물은?

Q: 투표소에 갈 때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요?

A: 본인 확인을 위해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합니다.

  •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공식 신분증이 필요합니다.
  • 모바일 운전면허증, 청소년증 등도 사용 가능합니다.

9. 해외 거주자는 어떻게 투표하나요?

Q: 해외에 거주하는데, 투표를 할 수 있나요?

A: 해외에 거주하는 유권자는 재외선거인 등록을 한 후, 지정된 재외투표소에서 투표할 수 있습니다.

  • 재외투표 기간: 2025년 5월 20일~25일 (예정)
  • 재외선거인 등록: 국내 거소신고자와 외국 영주권자의 경우 필수

10. 장애인 및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은 어떻게 투표하나요?

Q: 몸이 불편해서 투표소까지 가기 어렵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장애인과 거동이 불편한 유권자를 위해 거소투표 제도가 운영됩니다. 거소투표를 신청하면 자택에서 우편으로 투표할 수 있습니다.

  • 거소투표 신고 기간: 2025년 5월 14일~18일
  • 투표 용지가 자택으로 배달되며, 작성 후 우편으로 제출하면 됩니다.

12. 투표 용지를 촬영해도 되나요?

Q: 투표 인증샷을 찍어도 되나요?

A: 투표소 내에서는 투표용지를 촬영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투표소 밖에서 손등에 도장을 찍거나 투표소 배경을 촬영하는 인증샷은 가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