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유아기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 우리 아이는 지금 어떤 사고를 하고 있을까?

by The Kiddos’ Corner (아이들의 코너) 2025. 3. 28.
반응형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 우리 아이는 지금 어떤 사고를 하고 있을까?

아이가 "엄마, 왜 하늘은 파래?"라고 물어본 적 있나요?
또는 동생이 울고 있는데, "왜 울어? 장난감 줄까?"라며 자기 방식으로 위로하는 모습을 본 적 있나요?

이 모든 행동은 아이들의 인지 발달 단계에서 나오는 자연스러운 반응이에요.
스위스의 심리학자 장 피아제(Jean Piaget)는 아이들의 사고 방식이 성인과 다르며, 특정 단계를 거치면서 점진적으로 발달한다고 설명했어요.

부모로서 아이가 어떤 단계에 있는지 이해하면, 적절한 자극을 주고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선택할 수 있어요.
그럼, 피아제의 인지 발달 4단계를 부모의 눈높이에서 쉽게 풀어볼게요! 


1. 감각운동기 (0~2세): 세상은 오감으로 배우는 곳!

핵심 특징
 아이는 눈, 손, 입 등 오감을 통해 세상을 탐색해요.
 **‘대상 영속성’(Object Permanence)**이 발달해요. (물건이 안 보여도 사라지지 않는다는 걸 깨닫는 것)

예시
생후 6개월 아기는 장난감을 눈앞에서 가리면 사라졌다고 생각하지만,

생후 10개월 아기는 장난감이 천 뒤에 숨겨져 있어도 다시 찾으려고 해요.

부모 TIP!
 까꿍놀이(Peek-a-boo)를 자주 해주세요! → 아이가 대상 영속성을 배우는 데 도움을 줘요.
 촉감 놀이(물감, 모래, 물 등)를 통해 감각을 자극해 주세요.


2. 전조작기 (2~7세): 내 생각이 세상의 중심!

핵심 특징
 아이는 **상징적 사고(Symbology)**를 하기 시작해요. (예: 블록을 차로, 막대를 칼로 상상함)
 **자기중심적 사고(Egocentrism)**가 강해요.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기 어려움)
보존 개념(Conservation)이 부족해요. (모양이 바뀌어도 양이 같은지 이해 못 함)

예시
 "엄마가 내 옆에서만 있어야 해!" → 자기중심적 사고
 컵에 담긴 물을 넓은 그릇에 부으면 "물이 줄었어!"라고 말함 → 보존 개념 부족

부모 TIP!
 아이가 자기중심적인 사고를 해도 억지로 고치려 하지 말고, 공감해 주세요.
 역할놀이(병원놀이, 슈퍼마켓 놀이)를 통해 사회성을 키울 수 있어요.
 컵에 물을 옮겨 담으며 "어느 컵이 더 많아?"라고 물어보며 개념을 익혀보세요.


3. 구체적 조작기 (7~11세): 논리적 사고를 배우는 시기!

핵심 특징
 이제야 **보존 개념(Conservation)**을 이해하기 시작해요.
 **탈중심화(Decentering)**가 가능해져요.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관점도 이해함)
 **논리적 사고(Logical Thinking)**가 가능하지만, 여전히 눈에 보이는 것 위주로 생각해요.

예시
 친구가 슬퍼하면 "왜 슬퍼?"라고 묻고 공감하는 모습이 보임.
 "A=B고, B=C면, A=C야!"라는 논리를 이해하기 시작함.

부모 TIP!
 아이가 규칙을 정하고 게임을 하도록 도와주세요. (예: 보드게임, 카드게임)
 "이 물건을 어떻게 정리하면 좋을까?"라고 질문해 보며 사고력을 키워 주세요.
 "만약 네가 선생님이라면 어떻게 할까?" 같은 질문으로 다양한 관점을 경험하게 해주세요.


4. 형식적 조작기 (11세~): 추상적인 사고가 가능해지는 시기!

핵심 특징
 **추상적 사고(Abstract Thinking)**가 가능해져요. (눈에 보이지 않는 개념도 이해할 수 있음)
 **가설을 세우고 실험적으로 사고(Hypothetical-Deductive Reasoning)**할 수 있어요.
 도덕적 가치, 사회적 문제 등에 관심을 갖기 시작해요.

예시
 "정의란 무엇일까?" 같은 질문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기 시작함.
 "만약 지구에서 중력이 사라진다면 어떻게 될까?" 같은 가설적 질문에 답할 수 있음.

부모 TIP!
 아이가 토론할 수 있는 기회를 주세요. (예: "공부를 꼭 해야 할까?" 주제로 대화 나누기)
 철학적인 질문(예: "행복이란 뭘까?")을 던지며 깊이 있는 사고를 유도하세요.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같은 논리적 사고를 할 기회를 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