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유아기

영유아의 식습관 : 원인, 각 연령별 문제 및 개선 방법, 형성 방법

by The Kiddos’ Corner (아이들의 코너) 2023. 7. 9.
반응형

식습관 갈등 원인

우리 아이들은 자라면서 주 양육자와 식사로 인해 갈등을 겪을 때가 꽤 많다. 새로운 음식은 낯설게 느껴지고, 선호도가 생겼다는 증거가 될 수도 있다. 사실 갈등이라고 표현하기도 애매한 것 같다. 앞에 말한 것처럼 우리 아이들에게 첫경험이기 때문에 당연히 아이들마다 다르게 무던하게 받아들이는 친구들이 있을테고, 너무나 낯설게 다가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선호도가 생겼다는 것은 내 생각을 표현할 수 있다는 반증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이들은 경험이 중요하다. 아이들이 좋은 경험을 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은 성인의 몫이 크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겪을 수 있는 식습관 갈등과 좋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루어보도록 하겠다. 첫 번째는 개인적인 취향과 선호도이다. 아이들은 개인적인 취향과 선호도를 가지고 있다. 어떤 음식을 선호하고, 어떤 음식을 싫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취향 차이가 식사 갈등을 유발하게 된다. 두 번째는 독립성이다. 아이들은 자신의 독립성을 발현하고, 자신의 선택을 차츰 주장하게 된다. 식사 시간에 자신의 음식 선택권을 주장하거나, 자신의 음식을 선택적으로 먹으려고 한다. 세 번째는 환경적 영향이다. 아이들의 식습관은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가정이나 학교에서의 식사 환경, 친구들이나 가족들의 음식 선호도, 매체 등의 영향으로 인해 식습관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네 번째는 음식 경험의 부족이다. 어린 아이들은 새로운 음식에 대한 경험이 부족할 수 있다. 음식의 색상, 텍스처, 맛에 대한 경험 부족으로 인해 신뢰감이 부족하거나 거부감을 느낄 수 있다. 다섯 번째는 부정적인 식사 경험이다. 과거에 식사 시간에 부정적인 경험을 한 아이들은 식사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강제로 음식을 먹이거나, 부정적인 반응이나 압박으로 인해 아이들이 식사에 저항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아이들의 식습관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우리는 이를 이해하고 적절한 접근 방법을 사용하여 아이들의 식습관을 지원하고 긍정적인 식사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개별 아이의 식습관 갈등의 원인과 성격을 고려하여 맞춤형 대응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각 연령별 식습관 문제 및 개선 방법

식습관 관련하여 시기별로 우리 아이들이 겪게 되는 상황들이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 자세히 다루어보고자 한다. 영아는 스푼이나 젓가락을 사용하려 하지만 미숙하여 음식을 흘리거나 제대로 먹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적절한 식사 도구를 제공하여 아이가 편안하게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도와주면 된다. 아이들 입크기에 맞는 숟가락, 포크, 에디슨 젓가락등을 제공해준다. 아이가 밥을 먹을 때마다 스스로 먹으려고 해서 주 양육자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밥먹을 때 사용하는 턱받이를 제공해준다. 또한, 먹는 기술을 연습할 수 있도록 아이의 손동작을 관찰하고 가이드해주는 것도 방법이다. 스푼이나 젓가락을 잡는 법을 가르쳐주며, 아이가 실패를 겪어도 계속해서 격려해준다. 모든 것이 다 시도이고 경험이기 때문이다. 즐거운 식사 환경을 조성하고, 아이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다양한 음식을 제공하여 음식에 대한 관심을 높이도록 한다. 유아는 자신의 음식을 선택하려고 하고, 특정 음식을 선호하거나 다른 음식에 대해 거부할 수 있다. 이때는 다양한 음식을 제공하고, 색상이나 모양을 활용하여 음식을 흥미롭게 만들어준다. 음식을 섞어서 제공하거나, 재미있는 음식 이름을 붙여주는 등 창의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아이의 참여를 장려하고, 모범적인 식사 태도를 보여주는 역할 모델이 되어준다. 아이와 함께 음식을 선택하고 요리하는 활동에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아이의 참여와 자유로운 선택권을 존중해줌으로써 식사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도록 지원한다. , 유아는 친구들과 함께 식사할 때 친구의 영향을 받거나 특정 음식을 싫어할 수 있다. 이때는 유아와 함께 음식에 대한 대화를 나누고, 영양 균형을 갖춘 식사를 중요하게 여기도록 가르쳐주기를 바란다. 아이들에게 친구들과의 식사 시간은 소통과 공유의 시간이라는 것을 이해시켜주는 것도 방법이다. 영양 가치가 높은 음식을 맛있게 제공하고, 아이들의 참여와 선택권을 존중하는 식사 환경을 성한다. 함께 식사하는 동안 친구들과의 대화와 공유를 장려하며, 긍정적인 식사 태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경험은 아이들이 사회적인 상호작용과 식습관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각 연령별로 식사 갈등을 겪을 수 있는 상황과 대처 방법은 아이들의 발달 수준과 인지력을 고려하여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다. , 상황에 맞는 적절한 대처 방법을 선택하여 아이들이 건강하고 긍정적인 식사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음식은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부모들은 아이들의 식사 갈등을 지원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는 데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한다.

올바른 식습관 형성 방법

첫 번째는 좋은 모범을 보여주는 것이다. 부모나 보호자는 자신이 올바른 식습관을 가지고 있으면 좋다. 아이들은 주변 환경에서 학습하므로, 부모가 영양 가치가 높은 음식을 선택하고 균형 잡힌 식사를 하며 식사 시간을 즐기는 모습을 보여주기를 바란다. 두 번째는 가족 식사 시간을 유지하는 것이다. 가족 식사 시간을 유지하고, 가능한 한 함께 식사하는 것이 좋다. 현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가족들과 함께 식사하는 것이 쉽지 않다. 슬프게도 각자 바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시간을 중요하게 여기고 서로 노력했으면 좋겠다. 이는 아이들에게 식사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고, 가족과의 소통과 연결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다양한 식재료 제공이다. 아이들에게 다양한 식재료를 제공하여 영양 균형이 맞는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과일, 채소, 단백질, 탄수화물 등 다양한 음식 그룹을 포함한 식사를 제공하고, 색상과 모양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시각적인 매력을 높이는 것도 방법이다. 네 번째는 식사 환경 조성이다. 식사 환경을 쾌적하고 편안하게 조성한다. 식사 시간에는 텔레비전이나 전자기기를 꺼두고, 가벼운 음악이나 대화를 즐길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식탁에서는 테이블 매너와 음식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등 긍정적인 식사 경험을 만들어준다. 다섯 번째는 아이의 참여와 선택권 부여이다. 아이들에게 음식 선택에 참여할 기회를 주고, 선택권을 부여한다. 음식을 선택하거나 요리하는 과정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자신의 음식 취향을 표현하도록 장려한다. 이는 아이들이 음식에 대한 책임감과 자기결정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여섯 번째는 긍정적인 에너지와 격려이다. 아이들이 식사를 잘 마무리했을 때에는 긍정적인 에너지와 격려를 표현한다. "잘 먹었어요!", "고생했어요!"와 같은 칭찬과 함께 아이의 노력을 인정해준다. 이는 아이들에게 긍정적인 식사 경험을 제공하고, 좋은 식습관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각 가정의 상황과 아이의 성격에 따라 식습관 개선 방법은 다양하다. 위의 방법들은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이며, 가족의 식사 문화와 아이들의 성격에 맞게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건강하고 긍정적인 식습관을 형성하는 데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