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양육자는 아이와 시간을 같이 지내다보면 아이는 계속 어지르고 나는 계속 정리를 하다가 하루가 간다고 말하기도한다. 아이들은 왜 정리를 하지 않을까? 왜 정리하면서 놀지 않을까? 라는 궁금증을 던질 수 있다. 부모나 보호자로서 우리는 종종 우리 아이들의 무질서한 공간과 장난감들을 보며 어리둥절해집니다. "왜 정리를 좋아하지 않을까?"라는 의문이 생깁니다. 아이들이 정리를 좋아하지 않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기 때문에 정리하는 습관을 길러주어야 한다. 이번 시간에는 아이들이 왜 정리를 싫어하는지와 지원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아이들이 정리를 싫어하는 이유
발달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영아기 아이들은 물건을 정리하는 능력과 관심이 부족하다. 인지적으로 아직 물건들을 그룹화하거나 일정한 순서로 정리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 유아기 아이들은 영아기에 비해 상상력과 창의력이 높아지면서 정리를 해야하는 것을 알지만 정리보다는 상상적인 놀이와 물건을 이용한 창작에 몰두한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의 놀이를 존중해주며 아이의 놀이가 다 끝나보이거나 전환하려할 때 함께 정리하며 습관을 길러가면 좋을 것 같다. 또, 아이들은 집중력과 공간 인식이 낮다. 연령이 높아지면서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길어지지만 최대 20분 정도이다. 그래서 한가지 놀이에 오래 집중하지 못하고 새로운 재미있는 것을 찾기 위해 이전에 놀이하던 것을 놔두고 떠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공간 인식이 낮아 어디에 정리를 해야할지 찾기 어려울 수 있다. 성격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일부 아이들은 체계적이고 꼼꼼한 성격이 아닐 수 있으며, 정리를 우선순위로 두지 않을 수 있다. 이 아이들에게는 놀이와 탐구가 더 중요한 것으로 느껴져 정리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을 수 있다. 더불어 아이들은 자신만의 공간을 가지고 있을 때 자신만의 방식으로 물건을 놔두고 싶어할 수 있다. 나도 어렸을 때를 떠올리면 나만의 공간 안에서 놀잇감을 다 꺼내놓으며 나만의 놀이를 만들어나가고 안정감을 더 느꼈던 것 같다. 이 때 정리를 강요하는 것이 아이들에게 불편하거나 제한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 또, 주 양육자의 정리 습관을 되돌아보기를 바란다. 주 양육자가 정리를 하지 않거나 너저분하게 물건을 펼쳐놓는다면 아이들도 정리를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 있다.
정리하기 싫어하는 아이를 지원하는 방법
성인도 한가지 습관을 들이기 위해서 오랜 시간이 걸린다. 아이들이 좋은 습관을 기르기 위해서도 오랜 시간이 걸리고 성인의 도움이 무조건적으로 필요로한다. 우리 아이들이 정리하는 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어떻게 지원해주면 좋을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첫 번째는 게임을 활용한 정리 교육이다. 아이들은 게임을 통해 즐거움과 학습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놀이를 통해 간단한 정리 게임을 시도하면 아이들이 정리하는 것을 즐기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깔별로 물건들을 정리하는 게임이나 음악과 함께 물건들을 정리하는 놀이 등을 시도해볼 수 있다. 두 번째는 시각적 도구 활용이다. 그림 라벨이나 차트와 같은 시각적 도구를 활용하면 아이들이 물건들을 어디에 정리해야 하는지 이해하기 쉬워진다. 그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그림과 함께 물건들의 장소를 나타내는 것은 정리에 대한 감각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된다. 앞서 말한 것처럼 아이들은 공간 인식이 낮아 물건을 어디에 정리하면 좋을지 파악하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성인이 놀잇감을 분류하여 정리할 수 있는 바구니나 공간을 정해주어 아이들이 정리할 수 있도록 도우면 좋을 것 같다. 아이들이 쉽게 정리할 수 있도록 어린이집, 유치원처럼 바구니와 정리 자리에 같은 그림이나 놀잇감 사진을 부착하여 아이들이 알아차릴 수 있도록 도우면 좋을 것 같다. 세 번째는 모델링과 협력이다. 주 양육자가 정리를 하며 아이들에게 모범이 되고, 함께 협력하면 아이들은 보다 적극적으로 정리하는 습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함께 정리하면서 어떤 장소에 어떤 물건이 들어가는지를 알려주고, 아이들과 함께 물건들을 그룹으로 묶어가며 도움을 주는 것이 좋다. 네 번째는 순차적 지시이다. 아이들은 한 번에 많은 정보를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정리할 때 간단하고 순차적인 지시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먼저 책을 책장에 넣고, 그 다음에 블록을 상자에 넣어볼까?"와 같이 단계별로 지시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다섯 번째는 격려이다. 아이들이 정리를 잘 했을 때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고 주는 것이 중요하다. 작은 성취들에 대해 "잘했어요!" 혹은 "우리 00이가 정리를 열심히 했더니 방이 너무 깨끗해졌다!"와 같은 긍정적인 말을 건네면 아이들은 정리를 하는 것에 보람과 자신감을 얻게 될 것이다. 우리 아이의 연령을 고려하여 지원해주어야 한다. 영아 같은 경우에는 “배달이요~ 택배 아저씨 택배 왔습니다!”라며 배달 놀이 등 놀이를 하거나 놀잇감 개수를 정해 아이가 할 수 있는 만큼만 할 수 있도록 지시하고 보람을 느끼도록 하면 좋다. 또, 아이와 함꼐 정한 일정 시간이 되거나 너무 어질러져있으면 지금 놀이하지 않는 놀잇감은 정리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면 아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 이다. 아이들이 정리를 싫어하는 이유를 이해하고 적절한 지원 방법을 통해 점진적으로 정리 습관을 기를 수 있다. 즐거운 게임과 시각적 도구, 함께 협력하는 경험과 긍정적인 격려를 통해 아이들은 책임감을 갖추고 자연스럽게 정리하는 습관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영유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리 불안 : 영아기, 유아기, 학령기 (0) | 2023.07.28 |
---|---|
언어 발달이 느린 우리 아이 : 원인, 식별 요소, 지원 방법 (0) | 2023.07.27 |
반복적인 놀이에 대한 이해와 지원 방법 : 긍정적 영향, 영아기, 유아기 (0) | 2023.07.25 |
공격적인 행동의 이유와 지원 방법 :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0) | 2023.07.23 |
떼부림의 이유와 지원 방법 :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0) | 2023.07.22 |